SMALL
열아홉살 엠마 브로일스가 한 말이다. 올 한해 들었던 말 중에 가장 의미있는 말이다. 물론 내 기억법의 한계로 더 좋은 말들은 잊혀졌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엠마 브로일스가 한 이 말은 올 한해를 정리하는데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그런데 이 말이 내가 가장 싫어하는 것 중 하나인 미인선발대회에서 나왔다. 엠마 브로일스는 한국계 3세로 최근 미스아메리카로 선정됐다. 그 자리에서 한 수상소감이었다.
미인선발대회는 여성을 외모로 평가하고, 성차별을 조장하며, 성을 상품화한다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몇몇 미인대회가 사라졌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평균 200여개가 넘는 미인대회가 전국각지에서 열린다. 이런 미인대회는 특히 지역특산물 홍보를 명분으로 시·군축제 때마다 빠지지 않는 당골매뉴가 되어버렸다. 그야말로 관음[觀淫]의 시대다. 여성학자 나오미 울프는 “수단으로서의 미모, 그 유혹을 이겨낼 때 아름다움이 저절로 제 역할을 찾는다”고 했다. 새겨들어야 할 이야기다.
오늘 이 말을 들으면서 든 또 하나의 생각은 우리나라 정치인들의 저열한 사회인식 수준이다. 19살 엠마 브로일스의 이 말은 백인사회에서 살아가기 힘든 소수 혼혈인으로서의 각성이 담겨있다. ‘어떻게 보이느냐’, ‘배경이 무엇이냐’, ‘누구를 사랑하느냐’ 보다 더 중요한 것이 ‘당신이 어떤 사람이냐’,'어떤 변화를 원하냐'는 것이다. 어찌보면 단순하지만 불평등과 차별이 만연한 현대사회를 대비시켜놓고 보면 굉장히 어려운 문제를 화두로 던져 놓았다.
불평등과 차별이 세계 최상단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정치인들에게는 이 말이 어떻게 들릴까? 2021년 대한민국의 상위 10%의 평균자산이 하위 50%의 평균자산에 비해 14배가 많은 이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을까? 또 차별을 금지하자는 80% 가까운 시민들의 목소리는 국회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을까?
나는 엠마 브로일스의 이 말을 진입장벽은 낮추고 차별은 없애야 한다고 들렸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대한민국 정치인들은 다르게 들리는가 보다. 그들은 법인세와 종부세는 낮추고 차별금지법은 논의조차 하고 있지않다. 이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화학 비정규직 33명 집단해고 철회 환영한다. (0) | 2021.12.23 |
---|---|
남해화학 비정규직 대량해고 철회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 (0) | 2021.12.20 |
여수산단 폭발참사는 살인이다. (0) | 2021.12.16 |
여수산단 탱크로리 폭발사고는 살인이다. (0) | 2021.12.15 |
진도군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내 직작내 괴롭힘 진도군수의 책임있는 조치 촉구 기자회견 (0)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