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이야기

인구증가 전환의 해

여인두 2021. 12. 13. 11:37
728x90

목포시가 2022년을 인구증가 전환의 해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는 보도를 접했다.

20211130일 현재 목포시 인구는 218785명으로 2020년 말 기준 5,259, 2019년 말 기준 11,076명이 줄어들었다. 반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38,905(노령인구 비율 17.78%)으로 1936,087(15.70%), 2037,827(16.88%)으로 매년 1% 이상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고령사회에서 2년 뒤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실을 목포시도 인지하고 그동안 한 명이 담당하던 인구정책을 부서 신설을 통해 목포시가 적극 나서기로 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또한 2022년을 인구증가 전환의 해로 선포하고 구체적인 정책을 생산하겠다고 하니 기대하는 바가 크다.

 

인구증가의 핵심은 무엇일까? 그것은 청년들의 정주여건을 획기적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청년들의 정주여건이라 하면 그만큼 먹거리를 만들어야 하는데 과연 목포시에 그런 먹거리들이 있을까? 그래서 시도한 사업이 청년 창업이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청년창업을 통해 안착한 예는 찾기가 쉽지 않다. 원산동 중앙시장내에 청년창업 거리를 조성했지만 1년만에 대부분 문을 닫았다. 초기 투자비용만 지원하고 이후 컨설팅을 하지 않다보니 청년들이 정착을 하지 못하고 떠나는 경우가 허다했다. 이러한 창업유도 정책이 아니라 청년들이 창직을 통해 정착할 수 있는 페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창업이라는 구체적이고 어려운 조건을 제시하지 않고, 청년들 스스로 무엇을 할 것인지 결정하고 실행할 수 있는 그 과정 전반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결과와 성과에 매몰되지 않고 실패마저도 지원의 대상이 되어야 새로운 창직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렇게 청년이 다시 돌아오는 목포를 만들 때 인구감소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다.

 

이런점에서 최근 목포시청년정책협의체 발족에 대한 청년들의 비판에 대해 목포시는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청년발전기본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청년정책협의체는 목포시 청년정책의 컨트럴타워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런데 이런 협의체를 구성함에 있어 공개모집 과정이 없이 밀실에서 만들어졌다는 비판이다. 실제 지역에서 힘들게 창직활동을 하고있는 청년활동가들의 목소리를 배제하고 기관의 추천을 받아 연고 위주로 선발된 청년정책협의체가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마지막으로 목포시가 인구증가의 해로 삼는 내년이 임성지구, 서산온금지구, 산정지구, 유달경기장등 신축아파트 공사가 많이 진행된다. 설마 아파트 공급물량을 늘려 인구증가를 꾀하겠다는 생각이 아니기를 바란다. 신축아파트로 타지역 주민을 현혹하는 것은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방식으로 인구감소 현상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오히려 원도심 공동화를 넘어 구축아파트 공동화까지 부추겨 목포시 발전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다.

 
728x90